악취 및 방역을 위한 대책 제안 임미연 309회 2차 | 2025-02-14 |
존경하는 의장님!
동료 의원 여러분! 달서구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임미연 의원입니다. 저는 오늘 새로 입주한 아파트나 주택에서 발생하는 하수구 악취 문제와 바퀴벌레 관련 민원에 대해 발언하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새올 전자민원창구에 신청된 민원 “달서구는 더 이상 악취 안전지대가 아닙니다.”라는 내용이 잘 표현하고 있듯이 달서구의 악취 문제는 심각한 수준입니다. “그저 평범한 삶을 그리는 저는 행복한 신혼생활만 생각하고 달서구로 온 것인데 이런 악취에 시달릴 줄은 상상도 못 했습니다.”라고 고통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2023년 10월에 한국일보가 그린 악취 지도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대구의 악취 민원 건수는 2,415건으로, 서구 558건, 북구 119건, 수성구 315건, 달서구 589건, 달성군 254건, 군위군 580건으로 나타나 대구 지역에서 달서구의 악취 민원 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악취 지도에 따르면 달서구의 악취 종류는 공장 21%, 공단 8%, 주거지 7%, 매립장 6%, 폐기물 4%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주거지 악취가 7%로 나타난 점은 달서구에서 악취 문제가 공장만의 문제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생활 수준 향상으로 주민들의 기대 수준이 높아졌고 악취 문제에 예민해짐에 따라 이제는 하수 악취 문제에 대한 민원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하수 관거를 매설하면서 대부분 합류식 하수 관거 시스템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오수 발생원에 분뇨와 오수를 저장 및 처리하는 분뇨 정화조와 오수 처리 시설이 설치되었고, 이 시설에서 황화수소가 다량 발생하여 공공하수도로 방류되므로 악취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맨홀 등 외부와 연결된 지점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악취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대구시의 우·오수 분류화율은 2021년 현재 44%로, 광역시 평균 64%에 비해 낮은 편이며 하수 악취 문제에 더욱 취약하다고 하겠습니다. 특히 인구 밀도가 높고 아파트와 같이 대규모 단독 정화조가 설치된 지역에서는 하수 악취 민원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 구에서는 특히 신축 아파트인 A아파트 하수 악취와 관련해 여러 차례 민원이 제기되기도 하였습니다. 평생의 꿈이었던 내 집 마련을 실현한 주민들이 기대와 달리 열악한 주거 환경으로 인해 큰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하수구 악취는 주로 배수관 설비의 결함과 유지 관리 미비에서 발생하며 특히 하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 가스가 실내로 퍼질 경우 주민들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질병을 유발할 가능성도 큽니다. 또한 바퀴벌레 발생 문제는 그 빈도와 규모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달서구 주민들의 건강에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바퀴벌레는 알레르기 및 천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하수구를 통해 유입된 해충들이 주거 공간으로 들어오는 문제는 하수구 관리와 해충 방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복합적인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는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제안을 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하수구 관리 및 배관 점검 강화입니다. 달서구 내 모든 공동주택 및 주거 시설에 대해 정기적인 하수구 점검을 의무화해야 합니다. 둘째, 해충 방제 시스템 개선입니다. 정기적인 방역 프로그램과 공공 방역팀을 확대 운영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셋째, 주민참여 프로그램 도입입니다.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주거 환경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넷째, 벤치마킹 및 예산 지원입니다. 강남구, 용산구 등 타 기초지자체는 하수 악취 저감사업 예산을 편성하고 있으며 스프레이식 악취 저감 시설, 지주형 흡착분해식 악취 저감 시설, 정화조 악취 저감 장치 등 다양한 장치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2024년 서울시 자치구 하수악취 저감 추진실적 평가’에서 우수 구로 선정된 영등포구의 경우 250세대 이상 공동주택의 정화조에 악취 저감 시설 48대를 설치했고 저감 시설 가동 결과 모든 공동주택의 악취가 현저히 감소되었고 그중 공동주택 17개소의 경우 황화수소의 제거율이 82%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하수구 관리와 방제 문제에 대한 타 지자체의 선진적인 대안을 벤치마킹하고 지자체 차원에서의 예산 확보를 통해 지속적인 지원을 보장해야 합니다. 대구시는 2040년까지 총 2조7,000억 원을 투입해 하수도 우·오수 분류화율을 100%로 높일 계획이라고 합니다. 대구시가 좀 더 적극적으로 하수 악취 문제에 대응하여 더 빠른 시기에 우리 구의 하수 악취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집행부가 적극 소통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저의 제안이 달서구 주민들의 더 나은 주거 환경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실천으로 이어지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전체
800 ,
1 /
80 페이지
번호 | 회수·차수/날짜 | 제목 | 의원 |
---|---|---|---|
800 | 312회 2차
2025-06-30 |
달서 하이로프 클라이밍장에 관하여 | 황국주 |
799 | 312회 2차
2025-06-30 |
공공체육시설 이용 실태와 개선 방향 제안 | 김정희 |
798 | 312회 2차
2025-06-30 |
대구시 신청사 건립 관련하여 | 손범구 |
797 | 312회 2차
2025-06-30 |
참전유공자 기념비 건립 촉구 | 김기열 |
796 | 312회 2차
2025-06-30 |
스마트 헬스케어센터 운영에 관하여 | 권숙자 |
795 | 312회 2차
2025-06-30 |
스마트도시 달서에 관하여 | 최홍린 |
794 | 312회 1차
2025-06-09 |
치매 예방을 위한 상세한 안내책자 제작 및 배부 촉구 | 남현주 |
793 | 312회 1차
2025-06-09 |
월성2동 행정복지센터 신축 촉구 | 박왕규 |
792 | 312회 1차
2025-06-09 |
월곡초 후적지에 영어타운 조성 제안 | 이진환 |
791 | 312회 1차
2025-06-09 |
공영주차장 확보 방안 제안 | 정창근 |